빈 산
빈 산
아무도 더는
오르지 않는 저 빈 산
해와 바람이
부딪쳐 우는 외로운 벌거숭이산
아아 빈 산
이제는 우리가 죽어
없어져도 상여로도 떠나지 못할 저 아득한 산
빈 산
너무 길어라
대낮 몸부림이 너무 고달파라
지금은 숨어
깊고 깊은 저 흙 속에 저 침묵한 산맥 속에
숨어 타는 숯이야 내일은 아무도
불꽃일 줄도 몰라라
한줌 흙을 쥐고 울부짖는 사람아
내가 죽을 저 산에 죽어
끝없이 죽어
산에
저 빈 산에 아아
불꽃일 줄도 몰라라
내일은 한 그루 새푸른
솔일 줄도 몰라라
―김지하
★
시인은 어떤 산을 보고서 빈 산이라고 느꼈을까.
산이 어떤 모습을 띠고 있기에 비어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.
불에 타서 나무들이 모두 재로 변한 산일까.
산에 동굴이 많아서 산 속이 텅 빈 산일까.
산에 있는 돌을 다 캐내서 속이 비었을까.
★
산이 텅 비어 있기에 아무도 더는 오르지 못하는 산.
그런 산을 산이라고 부를 수나 있을까.
바람만 우는 벌거숭이 산
사람이 죽어서 묻힐 수조차 없는 산
★
시인은 꿈꾼다.
그러나 지금은 숯처럼 재처럼 땅 속 깊이 묻혀 있지만
언젠가 불꽃처럼 타오를 빈 산
푸른 솔을 가득하게 두르게 될 산을.
★
김지하는 우리 고유의 특유한 음률에 실어 시대와 그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삶을 애끓는 절창으로 노래하고 있다.
빈 산 빈 산 벌거숭이 산 빈 산 아득한 산 빈 산
길어라 고달파라 몰라라
죽어 죽어 산에 저 빈 산에
몰라라 몰라라
반복되는 단어들로 운율을 맞춰서 시의 리듬감뿐만 아니라 시에 생동감과 힘을 불어넣고 있다.
매우 허무한 듯한 빈 산의 이미지에 오히려 강렬한 생명력을 불어 넣는다.
비어 있다고 비극적인 상황을 노래하고 있지만 오히려 불끈 불끈 힘이 솟는 듯하다.
빈 산 빈 산 반복적으로 외쳐 부름으로써 산이 살아 꿈틀대고 산이 우뚝 일어서는 듯한 느낌을 준다.
비극적이고 고난에 찬 삶이 그것을 뚫고 새롭게 솟아오르는 듯하다.
산처럼 삶이 일어서는 것이다.
빈 산은 더 이상 산이 아닐 정도로 텅 비어 버렸지만 오히려 그렇기에 다시 태어날 수 있으며
불타오를 수 있고, 푸르게 빛날 수 있다.
★
김지하 시인은 이 시를 통해 시대가 아무리 폭압에 가득 차 있고,
우리의 삶이 텅 비어 버린 듯 하지만
지금은 땅 속 깊이 숨어 있는 듯한 자유와 평등, 민주주의가 시뻘건 숯으로 타오르고
푸른 소나무처럼 푸르게 산을 뒤덮을 것을 희망적으로 노래한다.
수십 년간 군사독재 이 땅을 잠식했지만
텅 빈 것 같던 산이 울창한 나무들로 뒤덮이듯
민주주의가 되살아나 오늘 우리의 삶을 빛나게 한다.
빈 산
아무도 더는
오르지 않는 저 빈 산
김소월의 산유화가 떠오르는 첫 연은 우리 가락이 빛나는 시어와 만나 최고의 울림을 전하고 있다.
'독서 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명시 산책] 조용미 <봄, 심연> (0) | 2021.03.14 |
---|---|
파스칼 키냐르 <음악 혐오> (0) | 2021.03.07 |
마르그리트 뒤라스 <여름밤 열 시 반> (12) | 2021.03.06 |
[명시 산책] 장수진 <두시의 신비로운 능력> (0) | 2021.01.30 |
[명시 산책] 조용미 <비가역> (1) | 2021.01.2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