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모
낙엽이 우수수 떨어질 때
겨울의 기나긴 밤
어머님 하고 둘이 앉아
옛이야기 들어라
나는 어쩌면 생겨 나와
이 이야기 듣는가
묻지도 말아라
내일 날에
내가 부모 되어서
알아보랴
―김소월
【산책】
어린시절 혹은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가장 많이 하는 생각 중 하나는
“왜 나는 나인가?”이다.
왜 나는 다른 누구도 아니고 나인가?
이것은 정말 인생 전체를 두고 화두가 아닐 수 없다.
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이런 생각은 점차 희미해진다.
이미 내가 ‘나’로 산 인생이 너무 오래 되었다.
나는 나에게서 떼래야 뗄 수가 없는 존재가 되고 만 것이다.
내가 진짜 나일 때 나는 ‘나’로 존재할 수 있다.
★
내가 누구인지, 묻고 싶고, 나를 알고 싶고, 진짜 내가 맞는지 확인하고 싶어질 때
나에 대해 잘 알고 이에게 묻는다.
한 분은 神이고, 다른 분은 부모이다.
나에 관해 말해줄 수 있는 이는 그분들뿐이다.
그런데 신에게서는 아무런 응답도 없고,
그래서 부모에게 물어본다.
“엄마, 나는 누구야?”
★
나는 어쩌면 생겨나와
어린 시절과 청소년기에 가장 많은 질문과 고민은 나는 왜 태어났을까?
나는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을까?
생물학적인 요인 말고, 과학적 증거 말고,
내가 나로 태어난, 존재 이유와 근거.
부모에게 불만이나 화가 날 때면
“왜 날 낳았어요?”
소리치던 시절도 있었다.
그러나 세월이 많이 흘러 내가 어른이 되고, 부모가 되어서도 이 물음에 답을 찾았을까.
나의 아들이 내게 또 다시
“나는 어떻게 생겨났어요?”
“나는 누구예요?”
“왜 날 낳았어요?”
이렇게 묻는다면 어떤 대답을 할 수 있을까.
★
내가 부모 되어서 알아보랴
부모가 되어 아이를 낳게 되면 이런 생각에 잠시 두려워진다.
내가 아이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한 생명을 태어나게 한 것이 과연 잘한 일일까.
잘잘못을 따지는 게 아니라
나로 비롯된 한 생명에 대한 무한한 경외 때문에.
★
나의 존재에 대한 물음은 이렇게 이어진다.
신께서는 왜 인간을 만드셨을까?
답을 알 수 없지만
아이가 태어났을 때 내가 얼마나 기뻐했는가, 기억하면 조금은 느낄 수 있을 것이다.
인간 존재의 탄생을 보면서 신께서 느꼈을 감격과 기쁨을!
★
어머니는 나를 낳고 뜨거운 미역국을 드셨을까.
겨울이다. 춥고, 쓸쓸하다.
더욱이 코로나가 온 세상을 집어 삼키고 있다.
부모님은 정말 안녕하신가.
다만 안녕하시다는 사실이 심오하고, 경건하게 감사하다.
★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oa4jqGepTxI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jvQgm75NdBc&list=RDjvQgm75NdBc&start_radio=1&t=0
'독서 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명시 산책] 신해욱 <실비아> (0) | 2020.12.28 |
---|---|
[명시 산책] 정남식 <저녁노을, 낮은 한숨으로 지는 그대> (0) | 2020.12.24 |
[명시 산책] 서정주 <푸르른 날> (0) | 2020.12.22 |
이병률 산문집 <끌림> (0) | 2020.12.20 |
줄리 폴리아노 <고래가 보고 싶거든> (3) | 2020.12.1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