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명시 산책] 이병률 <내가 본 것>
본문 바로가기
독서 리뷰

[명시 산책] 이병률 <내가 본 것>

by 브린니 2020. 7. 9.

내가 본 것

 

눈에 뭔가 들어가 있다. 괜히 필요하지도 않은 눈물을 흘렸고 그것도 모자라 인공 눈물까지 샀다. 병원은 커다란 안경을 통해 내 눈동자를 들여다보았다.

 

유리 조각이 박혀 있다고 했다.

 

기다란 바늘이 눈으로 들어왔다. 손가락으로 두려움을 움켜쥐는 사이, 눈은 수면처럼 출렁한다. 빛난다고밖에는 말할 수 없는

 

유리 조각이 바늘 끝에 끌려나오고 있었다.

 

눈 내리는 하얀 밤을 잊을 뻔하였고 그 거리의 무성한 힘들의 기억을 잃을 뻔하여서 나는 말했다. 그 유리 조각을 저에게 주세요. 병원은 작은 병 속에

 

유리 조각을 담아주었다.

 

조각은 날카롭기보다 푸르렀다. 박히기는 좋으나 찌르기엔 부족한 조각은 턱으로 밝기를 받치고 있었다. 여태까지 본 모든 것을 기억하겠다는 것은 살아온 것보다 본 것이 더 단단하리란 것을 믿기 때문일 것이나

 

유리 조각은 내가 본 모든 것을 가지고 갔다.

 

나는 불필요한 부위를 영원히 떼어내기라도 한 듯 모호하게나마 마음이 간절해졌다.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―이병률

 

【산책】

면도칼로 눈을 도려내는 장면이 나오는 흑백영화가 있다.

안달루시아의 개.

 

눈은 사람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부위다.

눈은 1초에도 몇 번씩 감았다 뜨고 하면서 사물을 인식한다.

세분해서 말하면 눈은 보고 뇌가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.

그러나 눈이 보고 인식하는 것으로 우리는 느낀다.

 

사람이 장애를 갖게 된다면 다른 어느 것보다 눈을 잃는 것이 가장 치명적일 수 있다.

보지 못한다면 어떻게 될까?

그 암흑을 견딜 수 있을까?

단순히 보지 못한다는 것을 넘어서 텅 빈 어둠을 견뎌낼 수 있을까?

 

고구려 장수 양만춘 장군의 화살이 당태종의 눈을 찔렀다고 한다.

당태종은 한쪽 눈을 잃고 고통당하다가 임종을 앞두고 왕자들에게 다시는 고구려를 침범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.

화살은 눈을 찌를 수 있다.

 

이병률의 시 <내가 본 것>에서는 유리가 눈에 박혔다.

그러나 그 유리는

“박히기는 좋으나 찌르기엔 부족한 조각”이었다.

어쩌면 다행이다. 찌르지 못했기에 시인은 눈을 잃지 않았고, 살아 있다.

 

시인은 유리를 집으로 가지고 왔다. 병원에서 담아준 유리병 속에 넣어서. 마치 유골함처럼.

 

“여태까지 본 모든 것을 기억하겠다는 것은 살아온 것보다 본 것이 더 단단하리란 것을 믿기 때문”이다.

산 것보다 본 것이 더 단단하다?

 

기억 때문에?

기억은 본 것이 없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지도 모른다.

 

기억에 남아 있는 본 것들.

본 것은 경험한 것보다 더 기억에 남는 것일까.

 

눈에 박힌 유리를 빼냈을 뿐인데

시인의 느낌은

“불필요한 부위를 영원히 떼어내기라도 한 듯”하다.

 

유리가 눈의 어느 부분과 마찰을 했고,

그것은 짧은 시간 눈의 일부, 몸의 일부가 되었다.

이제 떼어내니까 마치 내게 있던 어느 부위를 떼어낸 것 같다.

 

몸속에 들어온 것들,

예컨대 많은 음식들,

하품을 하는데 들어온 벌레,

책상 모서리에 스쳐 손가락에 박힌 가시

목에 걸린 생선가시

혈관에 박힌 주사 바늘

링거

문신

기타 등등.

 

내 몸에 들어왔다가 나간 것들은 모두 나의 일부이다.

 

다만 불필요한 부위로 판단되어 잘려나갔을 뿐.

눈에 먼지나 티끌이 들어가

옆사람에게 후, 불어달라고 눈을 까뒤집었던 기억들,

떠오른다.

 

단단하다.

기억들.

 

* 안달루시아의 개 Un Chien Andalou : 1929년 스페인의 거장 루이스 브뉘엘 감독이 초현실주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와 함께 각본을 써 연출한 단편영화로 브뉘엘의 연출 데뷔작이다. 스토리의 개연성을 무시하고 이미지의 연상 작용만으로 이루어진 실험적인 작품으로, 관객을 소외시킨 최초의 작품이자 브뉘엘의 초현실주의 성향을 보여주는 걸작으로 추앙받고 있다.

댓글